분류 전체보기33 3D 교재 모델링_ 연필통 오늘 모델링할 부품의 대략적인 도면. 큰 틀을 먼저 스케치해서 회전으로 피쳐를 만든다. 이후 xy 평면에 스케치를 하여 윗 부분을 날려준다. 빨간 점을 위치에 맞게 찍어주고 호를 그려준다. '3점 호'로 두 점을 먼저 찍고, 반지름 100을 입력해주면 작성할 수 있다. 이후에 돌출로 윗 부분을 차집합으로 빼주면 이렇게 완성된다. 이제 옆면에 살짝씩 돌출된 부분을 만들어준다. A-A 단면도에서 거리가 90에 해당하는 부분을 그려보자. 새로운 작업평면을 '평면에서 간격띄우기'로 xy 평면에서 45mm 띄워서 만들어준다. 해당 작업평면에 '3점 호'로 사진과 같이 스케치한다. 프로파일로 스케치 부분을 선택, 범위는 '다음 면까지'로 선택하면 돌출이 완성된다. xy 평면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미러 기능을 이용해서.. AutoCAD ) 공차 기입_래크와 피니언 지난번 작성한 도면에 공차를 기입하였다. 전체적인 공차는 it5급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우선 중심거리 허용차부터 보도록 하자. 본체에 두 축이 존재할 때 중심거리 허용차를 줄 수 있다. 규격집에서 중심거리 허용차 2급과 두 축 사이의 거리를 통해 ±0.02 의 공차를 주었다. 본체의 해당 면을 데이텀 A 로 기준을 잡고 기하 공차를 입력한다. A와 축은 수직 관계이므로 직각도를 선택한다. 면과 축을 설정할 때는 공차 앞에 'Φ' 를 입력해준다. 이 면은 A와 평행 관계이므로 평행도를 선택한다. 면과 면 관계이므로 공차는 숫자만 입력하면 된다. 다음은 피니언. 생크 부분을 먼저 확인해보자.규격집에 생크 크기와 길이, 공차가 나와있으니 그대로 작성하면 된다. 정사각형 모양으로 잘랐기 때문에 치수 앞에 □ .. 반도체 8대 공정 간략 정리 1. 웨이퍼 실리콘으로 잉곳을 제조, 실리콘은 모래에서 추출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고온과 습도에 강해 주재료로 사용됨 잉곳을 얇게 슬라이스로 자른 후, 연마와 세정 작업을 거쳐 웨이퍼 제조. 2. 산화 웨이퍼를 높은 온도의 산소나 수증기에 노출시켜 산화막을 생성 산화막은 오염 물질이나 불순물로부터 웨이퍼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 3. 포토 산화막 위에 감광액을 도포 후, 회로 패턴이 담긴 마스크에 노광 장비를 이용해 빛을 통과시켜 회로를 찍어내는 과정. 나노 기술이 수율과 전력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매우 세심하고 높은 수준의 기술을 요구함. 감광액의 종류에 따라 노광된 영역을 남기는 경우와 노광되지 않은 영역을 남기는 경우로 나뉜다. 4. 식각 감광액이 없어진 부분의 산화막을 제거 감광.. AutoCAD ) 도면 치수 기입_래크와 피니언 오늘은 래크와 피니언의 2D 도면을 작성해보도록 하겠다. 인벤터로 모델링한 부품들을 도면화하여 AutoCAD로 넘기는 작업을 한다. 인벤터에서 AutoCAD로 도면을 옮길 때 해치 부분이 따로 떨어져서 표시될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인벤터 도면에서 해치 부분을 더블 클릭 후, 패턴을 'SOLID'로 바꿔주면 해치가 따로 떨어지는 일이 없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AutoCAD로 도면을 작성한다면 패턴을 바꾸고 dwg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추천한다. (인벤터에서 도면 다 끝내시는 분들은 할 필요 없습니다) 이후에 AutoCAD로 넘어가서 이렇게 새 창이 열리는데 이 때 전체 선택 후, layer 를 '0'으로 바꿔준다. 기존 도면으로 복사할 때 layer가 여러 개 생기는 것을 방지해준다. (사실.. 일반기계기사 작업형 모델링_래크와 피니언 수정! 저번 모델링에서 래크에 실수한 부분이 있어 수정하는 글을 작성한다. 우선 완전 원통형이 아니라 윗면에 단면이 쳐진 형상이였다. 그래서 다시 처음부터 모델링 수정. 처음에는 지름이 31mm인 원통으로 작성했는데 다시 확인해보니 지름이 31mm이고 0.5mm 단면이 쳐진 형상이였다. 이로 인해 전제적으로 다시 수정해야하는 불상사가 발생... 귀찮고 귀찮지만 다시 작성했다..... 그래도 한 번 해봤다고 손이 좀 빨라졌다. 빠르게 이 형상을 스케치 해주고 돌출로 빼주면 직사각형 패턴으로 전체 이 형상을 완성해주고 앞뒤로 남은 부분을 돌출로 빼주면 이후에 모따기와 밑부분 누름쇠가 지나갈 수 있게 돌출로 빼주면 완성이다. 항상 주의한다고 하는데 잔 실수들이 발생한다.. 한 부분을 제대로 투상 못했는데 이걸 수정하.. 열역학 법칙과 영구기관 Ⅰ. 열역학 제 0 법칙 A와 C, B와 C가 열평형 상태라면, A와 B도 열평형 상태이다. (A=C, B=C -> A=B) Ⅱ. 열역학 제 1 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 어떤 계가 사이클을 이룰 때, 계의 총 열량은 내부에너지와 일량의 합과 같다. (Q=U+W) Ⅲ. 열역학 제 2 법칙 (엔트로피 법칙) 밀폐계에서의 에너지 흐름은 고열원에서 저열원으로 이동하며, 엔트로피의 변화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고 절대 감소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항상 뜨거운 물에서 차가운 물로 열이 이동하며 반대 방향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교수님이 쉽게 설명해주신 내용이 교실에 있는 학생들에게 조용히 하라고 하면 처음에는 조용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떠들고 난장판이 된다고,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고..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