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3D 교재 모델링_ 베벨기어 오늘은 베벨기어를 모델링 해보았다. 근데 스케치하다보니 도면의 치수가 그리 정확하지는 않은거 같다는 걸 느꼈다. 풀이랑 치수가 좀 다르게 입력된 것도 있고 아무튼 좀 부정확하다;; 일단 단면을 스케치하고 회전했다. 이 이후에 기어의 이빨을 작성하기 위해 평면을 새로 만들어준다. '점을 통과하여 곡면에 접함'을 선택하고 파란 면과 해당 점을 선택하면 작업 평면이 생성된다.점이 선택되지 않으면 스케치 가시성을 체크하고 해보면 된다. 해당 작업 평면에 기어 이빨을 스케치한다.위, 아래 원형을 형상 투영한 후에 스케치하면 쉽게 할 수 있다.이후 로프트 작업을 실행하여 이빨 형상을 모델링한다. 그 전에,로프트는 어떤 작업인지 살펴보자면 이런 식으로 각 스케치 사이를 매끄럽게 연결해주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
일반기계기사 작업형 모델링_래크와 피니언 오늘은 새로운 실기 도면을 가지고 왔다. 1. 본체 나머지 부분을 생성하고 구멍을 뚫어주면 본체는 완성! 2. 래크 래크의 이는 기어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치형이 시작하는 부분의 치수는 (래크 전체 길이 - m*3.14*z) / 2 로 구해서 2.66 이 나오게 된다. (m : 모듈, z : 잇수) 이렇게 작성한 후에 돌출로 파내고, 직사각형 패턴을 통해 완성한다. 3. 피니언 저번에 올린 기어축과 같은 방식으로 작성한다. 여기에 '생크' 를 추가한다. 규격집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폴리곤을 통해 정사각형을 그리고 모서리 부분을 잘라낸다. 이후 파란색 네 부분을 선택해 차집합으로 빼주면 4. 누름쇠 볼트가 들어갈 구멍인데, 작은 구멍 먼저 관통해서 뚫어준다.볼트 머리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주기 위해 평..
AutoCAD ) 표면 거칠기 입력_동력전달장치1 오늘은 표면 거칠기를 도면에 작성할 차례이다. 실기 준비할 때 해두었던 필기다. 알파벳 w,x,y 순서대로 점점 정밀하게 가공해야 한다고 외웠다. (w 가 가장 거칠고 y 가 가장 매끈) 주물제품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모서리에 라운딩이 있는지를 본다고 배웠다. 주물 제품이 굳을 때 모서리가 뾰족하면 뭐때문에 쉽게 깨질 수 있어서 라운딩을 준다고 했는데 뭐였는지 까먹었다;; 다음에 공부해서 수정하도록 하겠다.... ( 수정 ) 라운딩을 주는 이유는 직각부에 직선을 따라 결정립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라운딩이 있으면 주물품, 각져있으면 가공품이라고 생각하고 시험을 치뤘다. 본체 부분만 일단 거칠기를 다 표현해보았다. 부품 번호 앞에 어떤 거칠기가 적..
3D 교재 모델링_ 브라켓2 오늘은 다른 형태의 브라켓을 모델링 해보았다. 이번에는 굽힘 기능을 사용했다. 굽히기 전 모습을 모델링하였다. 이후 굽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윗면에 절곡선을 스케치해준다. '반지름+각도' 를 선택하여 도면대로 3mm 의 반지름, 35˚의 각도를 설정해준다. 반지름은 절곡선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라운드로, 다른 치수를 기입했을 때와 차이점을 위해 사진을 첨부했다. 가운데 리브를 생성하기 위해 선을 그려준다. 내 기준 yz평면에 스케치를 진행했다. 테두리 부분을 형상 투영하고, 양쪽에 점을 찍어 일치 구속조건을 주었다. 완-성 오늘도 처음 사용해보는 굽힘 기능을 활용해 브라켓을 모델링했다. 다음에는 기사 실기 도면을 모델링하도록 하겠다.
AutoCAD ) 끼워맞춤_동력전달장치1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끼워맞춤을 입력하려고 한다. 축과 구멍이 결합되는 곳에는 끼워맞춤 공차를 입력해주어야 한다. 헐거움부터 억지 끼워맞춤까지 지정을 해주어야하기 때문이다. 이건 기사 시험을 준비할 때 해뒀던 필기인데, 간단하게 공차를 입력하기 위해 저렇게 외웠다. 특별한 곳(베어링, 오일 실 ...) 이 아닌 이상 구멍은 무조건 H7으로 적용한 후에 결합하는 형태를 보고 축의 끼워 맞춤을 지정했다. 본체와 축받침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체에 해당 구멍을 H7으로 기준을 잡아준다.다른 부분은 구멍이 없으므로 본체의 끼워맞춤은 끝.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본체 구멍에 들어가는 부분이다. 윗부분에 볼트로 연결되고 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h6를 적용한다. 파란 부분은 안에 베어링이 들어갈 부분이다.규격집에 베..
토크(T)와 모멘트(M)의 차이점? 1. 토크(Torque, N·m) 이런 식으로 축의 중심을 벗어나 축과 수직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축 전체적으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발생하는 비틀림 힘을 토크라고 한다.토크는 회전력과 관계가 있으며, 중심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토크가 커진다. 2. 모멘트(Moment, N·m) 축에서 수직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밴딩, 즉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사진과 같이 힘이 작용하면 파란 점선의 모양으로 변형이 발생한다. 모멘트는 굽힘력과 관계가 있고, 길이가 길수록 모멘트가 크게 작용한다. 모멘트와 토크의 개념이 좀 헷갈리지만 그래도 구분해보자면...모멘트는 꼭 축의 중심에서 작용하지 않더라도 힘의 작용점과 지지점이 일치하지 않는 모든 것을 통칭하는 것이고,그 중에서도 회전체에 적용되는 모멘트를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