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Program22

AutoCAD ) 도면 치수 기입_드릴 지그 지난번 드릴 지그 모델링한 것을 바탕으로 도면을 그리는 작업을 진행했다. 전부터 인벤터에 2D로 내린 다음에 AutoCAD 도면으로 내보내기를 하면 압축 폴더로 만들어져서 불편했었는데 그 이유를 찾았다...!! (사실 실기 시험 준비하는 기간에는 알고 있었는데 시험 끝나고 한동안 안하다보니 그 방법을 까먹었다가 이제 기억이 난것...) 이런 식으로 단면도나 브레이크 아웃 작업을 해놓고 AutoCAD로 도면을 내보내기할 때 저장하기 전에 '옵션' 버튼을 누르면 우측에 보이는 것처럼 창이 하나 뜨는데 구성 탭에서 '기본 DWG 구성' 을 선택하고 마친 후에 저장하면 바로 AutoCAD 도면으로 저장된다. 혹시 내보내기할 때 압축 폴더가 생성되서 저장된다면 이 부분을 확인해보시길..!! 이후에 AutoCAD ..
일반기계기사 작업형 모델링_드릴지그 오늘 작업할 도면은 드릴지그이다. 1, 2, 4, 6 번 부품을 모델링하였다. 1번 부품 돌출을 이용해 기본 형태를 만들어주었다. 구멍까지 간격에 맞게 뚫어서 완성. 2번 부품 돌출과 구멍을 이용해 형상을 완성했다. 4번 부품 돌출과 구멍을 이용하였고, 카운터보어를 활용하여 구멍을 뚫어서 완성했다. 6번 부품 구멍의 형상을 카운터싱크로 설정하여 축을 완성하였다. 이번 부품은 특별한 기능이나 형상이 있지 않아 작업 과정은 생략했다. 다음에는 도면 작업하는 과정을 올리도록 하겠다.
3D 교재 모델링_선풍기 날개 오늘은 선풍기 날개를 모델링하였다. 먼저, 가운데 원형을 돌출해주었다. 이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날개의 곡선을 표현해주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3D 스케치를 활용하였다. 우선, 곡선을 원통 표면에 나타내기 위해 3D 스케치를 선택한다. 이후, 나선형 곡선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뜬다. 회전 및 높이를 선택해주면, 하단에 리스트가 좀 바뀐다. 지름은 곡선의 전체 지름이다. 원통면에 그려져야하기 때문에 원통면과 같은 지름인 40mm를 입력한다. 높이는 얼만큼 올라갈껀지를 입력한다. 날개의 높이가 10mm 이므로 그만큼 입력한다. 360º =1 회전으로 간주한다. 날개 하나 당 80º 의 각도를 가지므로 80/360 을 입력해준다. 테이퍼는 곡선이 작성될수록 지름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각도를 말한다..
AutoCAD ) 표면거칠기_래크와 피니언 래크와 피니언 도면 마지막으로 표면 거칠기를 입력할 차례다. 42mm 지름을 갖는 원통면은 피니언보다 형상이 커서 끼워맞춤이 아닌 곳이다. 다른 부품과 맞닿지 않으므로 w 거칠기를 준다. 옆면은 다른 부품이 끼워져 맞닿기 때문에 x 거칠기를 주었다. 본체의 옆면 또한 다른 부품과 맞닿기 때문에 x 거칠기를 준다. 각 부분들은 래크가 운동하면서 맞닿는 부분이므로 y 거칠기를 준다. 이끝원 부분과 피치원 부분은 y 거칠기로 준다. 14mm 축은 부시와 결합하고 안에서 회전하므로 y 거칠기로 준다. 래크는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운동하는 부품으로 전체 y 거칠기로 주고 부품에 따로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각 옆면과 윗면은 래크가 이동하며 맞닿는 부분으로 y 거칠기, 구멍은 w 거칠기를 준다. 이렇게 모든 부품의 ..
3D 교재 모델링_선풍기 커버 오늘 할 모델링은 선풍기 커버이다. 먼저, 가운데 원부터 모델링한 후에 나머지를 완성한다. 중심의 원 모델링 과정은 생략하고... 그물 형태는 '스윕' 기능을 통해 모델링한다. 스윕은 스케치 2개가 필요하다. 단면에 해당하는 스케치와, 그 경로에 해당하는 스케치를 작성해준다. 먼저, 경로에 해당하는 선을 먼저 그린다. 원형 단면이므로, 이 경로 위에 스케치를 해주어야 한다. 새 평면을 작성하기 위해 '점을 통과하고 축에 수직' 인 평면을 선택한다. 그리고 경로의 양 끝점 중 하나를 선택한 후, 그 점이 속해있는 경로의 선분을 선택하면 축에 수직인 작업평면이 생성된다. 해당 작업평면에 원을 스케치하고 스케치 완료를 한 후, 스윕 기능을 선택한다. 프로파일에는 작업평면에 그린 단면, 경로에는 선 스케치한 것..
AutoCAD ) 끼워맞춤_래크와 피니언 지난 도면에 이어서 끼워맞춤을 작성하려고 한다. 기본적으로 구멍을 H7 으로 놓고 끼워맞춤 정도에 따라 g, h, p6 를 선정해준다. 본체의 끼워맞춤을 먼저 작성했다. 이 부분은 부시가 끼워지는 부분이고, 구멍에 해당하므로 H7 으로 작성. 래크가 끼워져 움직이는 구멍으로 H7 작성. 누름쇠가 끼워지는 홈으로 H7 작성 꼭 구멍 형태만 끼워맞춤을 작성하는게 아니라, 다른 부품과 끼워맞춤하는 부분이면 홈 부분을 대문자로, 끼워지는 대상을 소문자로 작성해준다. 다음은 피니언. 부쉬와 끼워맞춰지고,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헐거운 끼워맞춤인 g6 작성. 반대편도 동일한 이유로 g6 작성. 다음은 래크. 구멍 안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헐거운 끼워맞춤인 g6 작성. 마지막 누름쇠. 누름쇠가 나사로 고정되기 때문에..